개발 공부/JAVA 자바
[JAVA 공부] 기본형 타입
밍혁팟
2020. 9. 28. 20:57
기본형 타입
-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타입
-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, 불린(논리)형을 의미한다.
불린(논리)형
- boolean을 쓰고 크기는 1byte
- true와 false로 표현 (0과 1 X)
- 명령어는 boolean
문자형
- char를 쓰고 크기는 2byte
- 문자는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다.
정수형
- 정수형은 정수를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인데 표현할 수 있는 정수의 범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공된다.
- byte, short, char, int, long
- 정수형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int는 4바이트이다.
- long형은 8byte크기를 가진다. int 보다 더 큰 범위의 정수를 표현하고 싶을때 사용한다.
실수형
-
실수형은 float과 double형이 있다.
-
float은 4바이트, double은 8바이트로 double은 float보다 더 큰 범위의 실수를 표현할 수 있다
리터럴
-
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리터럴이란, 소스 코드의 고정된 값을 대표하는 용어다.
-
리터럴은 일종의 값이다. true, false, 10, 11.1, a 등 이런 값 자체를 리터럴이라고 한다.
package JAVAStudy;
public class basic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boolean isFun = true;
System.out.println(isFun);
}
}
불린(논리)형 사용 예시
package JAVAStudy;
public class basic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char c = 'f';
System.out.println(c);
}
}
문자형 사용예시
package JAVAStudy;
public class basic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x = 59;
System.out.println(x);
long bing = 3454554331L;
System.out.println(bing);
}
}
정수형 사용예시
long을 쓸때는 뒤에 L을 붙여주어야 한다.
package JAVAStudy;
public class basic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float f = 32.4F;
System.out.println(f);
double d = 3434343.5;
System.out.println(d);
}
}
실수형 사용예시
float를 쓸때는 뒤에 F를 붙여준다.
모두 출력하면 이렇게 나온다.